[Python] 스택 수열 (백준 1874 파이썬)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8
4
3
6
8
7
5
2
1
예제 출력 1
+
+
+
+
-
-
+
+
-
+
+
-
-
-
-
-
예제 입력 2
5
1
2
5
3
4
예제 출력 2
NO
힌트
1부터 n까지에 수에 대해 차례로 [push, push, push, push, pop, pop, push, push, pop, push, push, pop, pop, pop, pop, pop] 연산을 수행하면 수열 [4, 3, 6, 8, 7, 5, 2, 1]을 얻을 수 있다.
문제 이해
- 처음에 보면 이해하기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종이에 대략적인 흐름을 따라 그리다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스택의 동작에서 push를 +, pop을 -로 표현해서 구현합니다. 이 결과를 최종적으로 출력합니다.
문제 풀이
- 1~n까지의 수열을 만드는 과정에서 arr에 있는 요소와 수열의 값이 같으면 처리하는 것이 키포인트입니다.
- arr의 인덱스를 다루기 위한 k변수를 두고, arr[k]와 같기 전까진 모두 스택에 넣습니다.
- 만약 방금 스택에 들어있는 마지막 값이 arr[k]와 같다면, 스택에서 뽑고 그 결과를 기록합니다.(뽑은 값과 +/-)
- arr의 다음 값을 봐야하므로 k를 +1 해줍니다.
- 입출력예 1번처럼 4를 뽑고 나서 스택의 마지막 요소인 3이 arr[k]와 같은 경우가 있으므로 while반복문을 통해 스택 마지막 요소를 계속 탐색합니다.
- 이렇게 진행하면 최종적으로 i가 8이 되었을 때, while문을 통해 스택에 남아있던 나머지 숫자들이 전부 pop됩니다.
아래 그림이 다소 난잡해보이지만 인덱스 1번부터 차근차근 따라가면 이해가 쉬울것 같습니다.
코드
#1874 스택 수열
n = int(input())
arr=[] #4 3 6 8 7 5 2 1
for i in range(n):
arr.append(int(input()))
stack=[]
result_st = []
result=[]
k=0
for i in range(1,n+1):
stack.append(i)
result.append('+')
while stack and stack[-1] == arr[k]:
p = stack.pop()
result_st.append(p)
result.append('-')
k += 1
if result_st == arr:
for i in result:
print(i)
else:
print('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