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풀이/Python

[Python] 영역 구하기 (백준 2583번 파이썬)

모남(monam2) 2023. 9. 2. 22:44

문제

눈금의 간격이 1인 M×N(M,N≤100)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예를 들어 M=5, N=7 인 모눈종이 위에 <그림 1>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 그 나머지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그림 2>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 7, 13이 된다.

M,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M과 N,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M, N,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0,0)이고,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N,M)이다.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

출력

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7 3
0 2 4 4
1 1 2 5
4 0 6 2

예제 출력 1

3
1 7 13

 

문제 이해

- 좌표평면에서 주어지는 x,y좌표에 따라 칸을 색칠하고, 색칠되지 않은 칸의 개수와 그러한 영역의 개수를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 좌표평면이 주어져서 당황할 수 있으나, 그림을 그리면서 행렬로 변환하다보면 일반적은 BFS문제와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 n,m과 x,y간의 관계를 잘 생각하면서 천천히 행렬로 그림을 다시 그리면 됩니다.

 

- 해결 과정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1. 좌표평면 색칠하기

2. BFS수행

 

1. 좌표평면 색칠하기

- 위 그림과 같이 행렬을 생성해야 합니다.

- 입력받을 때 n,m의 위치를 바꿔주고, k만큼 반복 입력 받을 때 주어지는 좌표를 이중반복문을 통해 1로 채워줍니다.

 

2. BFS 수행

- 방문처리를 위해 visited 배열을 생성합니다.

- BFS함수에서 칸의 개수를 누적해 리턴할 것이므로, 리턴 값을 담아줄 result 배열을 생성합니다.

- 모든 칸을 순회하며, 색칠되지 않고 방문하지 않은 지점에 대해 BFS함수를 수행합니다.

- BFS함수에서 다음 칸을 시뮬레이션 할 때 마다 칸의 개수를 누적하여 최종적으로 이 개수를 리턴합니다.

 

코드

#2583 영역 구하기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x,y,maps,visited):
    q = deque()
    q.append((x,y))
    visited[x][y]=True
    count = 1
    while q:
        x,y = q.popleft()
        dx=[-1,0,1,0]
        dy=[0,1,0,-1]
        for i in range(4):
            nx = x + dx[i]
            ny = y + dy[i]
            if 0<= nx < len(maps) and 0<= ny < len(maps[0]):
                if maps[nx][ny]==0 and visited[nx][ny]==False:
                    q.append((nx,ny))
                    visited[nx][ny]=True
                    count += 1
    return count

m,n,k=map(int, input().split())
maps=[[0]*m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k):
    x1,y1,x2,y2 = map(int,input().split())
    for i in range(x1,x2):
        for j in range(y1,y2):
            maps[i][j] = 1

visited = [[False]*m for _ in range(n)]
result = []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maps[i][j]==0 and visited[i][j]==False:
            result.append(bfs(i,j,maps,visited))

result.sort()
print(len(result))
print(' '.join(map(str,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