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2231
2231번: 분해합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www.acmicpc.net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216
예제 출력 1 복사
198
문제 이해
- 주어지는 n을 만드는 생성자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 즉, 256이라는 수가 주어지면 256이 245+2+5+6 로 이루어진 수라는 것을 찾아내는 과정의 문제입니다.
- 해당 과정을 어떻게 찾을지 고민하다, 처음엔 문제의 입력조건이 백만이기 때문에 백만까지 수를 일일히 체크하며 찾는 방법을 채택했습니다.
- 해결을 되었으나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서 조금 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고, 생성자는 항상 n보다 작은 수이므로 n까지만(n+1) 찾아보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코드1(처음 풀이)
코드2(개선한 풀이)
코드3(맵핑 풀이)
'알고리즘 풀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피로도 (프로그래머스 Lv2 파이썬) (0) | 2023.09.19 |
---|---|
[Python] 피로도 (백준 22864번 파이썬) (0) | 2023.09.19 |
[Python] 블랙잭 (백준 2798 파이썬) (1) | 2023.09.18 |
[Python] 시각 (백준 18312번 파이썬) (0) | 2023.09.18 |
[Python] 수학은 비대면강의입니다(백준 19532번 파이썬) (0) | 2023.09.18 |